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삼성전자

(2)
구글파이낸스로 코스피, 삼성전자, 엔비디아의 상관계수 계산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오늘은 통계용어인 상관계수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단순하게, 상관계수는 두 항목의 과거 데이터를 가지고 연관성을 도출한 확률입니다.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 사전적으로 '두 변인 X, Y 사이 상관 관계의 정도를 나타낸 수치' 라는 뜻의 상관계수는 통계학적으로도 많이 사용하고 데이터 분석에서도 많이 쓰는 개념입니다. 우리가 삼성전자 주가와 코스피 지수의 상관계수를 구할 피어슨 상관계수의 공식입니다. 피어슨 상관계수는 두 변인 X와 Y의 선형 상관관계를 계량화한 수치이며, 두 변인의 공분산을 각 변인의 표준편차의 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식을 기억할 필요도, 계산할 필요도 없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X가 오르면 Y가 반드시 오른다는 상관계수가 1이..
재무제표 보는법 (GP/A, PCR, PSR, PFCR, PER, PBR 용어정리)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주식을 하다보면 PBR 같은 재무제표 용어를 접할 일이 자주 있습니다. PBR (Price Book Ratio) 모른다고 주식투자를 못하지는, 재무제표를 볼 줄 모른다고, 주식투자를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투자하는 기업에 대해 더 잘 알기 위해서,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퀀트 투자와 같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알 필요 있습니다. 오늘은 재무제표 보는법과 PCR, PSR, PER 등 자주 활용되는 용어들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두려합니다. 재무제표 재무제표란 기업의 재무와 성과에 관한 보고서입니다. 기업회계기준으로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주기 및 주석으로 구성되는데, 아래 삼성전자의 재무 정보도 위 3가지로 나뉘어져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