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주식 투자/투자 용어

(5)
엘리엇 파동 기초, 기초 모형과 3가지 법칙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오늘은 시장 흐름을 설명하는 유명한 이론 중 하나인 엘리엇 파동 이론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 A.J 프로스트 도서 참고) 엘리엇 파동 이론은 후행 지표 우선, 엘리엇 파동은 시장을 예측하는 도구가 아닌 시장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어찌보면 끼워맞추기 식으로도 볼 수 있으나, 어느정도 정확도도 있으며, 시장흐름을 설명 할 수 있기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과거에 다우지수 폭락을 정확히 예측했기에 유명해졌습니다) 또한, 엘리어트 파동은 개별종목이 아닌 지수 선물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1930년대에 랠프 넬슨 엘리어트가 다우지수를 연구하며 발견한 이 현상을 개별종목에 적용해 봐야 변수가 훨씬 많고, 이에 따라서 틀린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
구글파이낸스로 코스피, 삼성전자, 엔비디아의 상관계수 계산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오늘은 통계용어인 상관계수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단순하게, 상관계수는 두 항목의 과거 데이터를 가지고 연관성을 도출한 확률입니다.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 사전적으로 '두 변인 X, Y 사이 상관 관계의 정도를 나타낸 수치' 라는 뜻의 상관계수는 통계학적으로도 많이 사용하고 데이터 분석에서도 많이 쓰는 개념입니다. 우리가 삼성전자 주가와 코스피 지수의 상관계수를 구할 피어슨 상관계수의 공식입니다. 피어슨 상관계수는 두 변인 X와 Y의 선형 상관관계를 계량화한 수치이며, 두 변인의 공분산을 각 변인의 표준편차의 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식을 기억할 필요도, 계산할 필요도 없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X가 오르면 Y가 반드시 오른다는 상관계수가 1이..
재무제표 보는법 (GP/A, PCR, PSR, PFCR, PER, PBR 용어정리)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주식을 하다보면 PBR 같은 재무제표 용어를 접할 일이 자주 있습니다. PBR (Price Book Ratio) 모른다고 주식투자를 못하지는, 재무제표를 볼 줄 모른다고, 주식투자를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투자하는 기업에 대해 더 잘 알기 위해서,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퀀트 투자와 같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알 필요 있습니다. 오늘은 재무제표 보는법과 PCR, PSR, PER 등 자주 활용되는 용어들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두려합니다. 재무제표 재무제표란 기업의 재무와 성과에 관한 보고서입니다. 기업회계기준으로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주기 및 주석으로 구성되는데, 아래 삼성전자의 재무 정보도 위 3가지로 나뉘어져 ..
예수금, 증거금, 미수금, 반대매매 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주식 투자를 접하다 보면, 주로 하락장에서 미수금 발생으로 인한 반대매매에 관하여 기사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미수를 허용하고 증거금율을 설정하면 레버리지로 더 큰 이득을 볼 수도 있지만, 리스크는 다소 큰 편입니다. 그래서 각 증권 계좌 설정에서 미수금을 제한하고 증거금율을 100%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미래에셋증권 MTS에서 계좌 증거금과 미수발생 관련 설정을 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예수금 (Deposit) 이 용어들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예수금을 알아보기 전에 우선 주식의 거래와 돈의 흐름부터 정리해보려 합니다. 주식을 매수하게 되면 실제로 주식이 들어오는 것은 영업일 기준 2일 뒤입니다. 즉, 결제는 영업일 기준 2일 뒤에 발생하는데, 돈도 2일 뒤에 거래한..
주식 시간외 거래 (시간외 종가, 단일가)와 정규시간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오늘은 한국 주식 시장의 시간외 거래와 정규시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데, 하나씩 쪼개서 살펴보겠습니다. 주식 체결의 원칙 거래에 대해 알아보기 전 근본적으로 주식체결이 어떻게, 어떤 우선순위로 이루어지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식 체결의 원칙은 아래 4가지가 있습니다. 가격 우선의 원칙 시간 우선의 원칙 수량 우선의 원칙 위탁 매매 우선의 원칙 매수를 기준으로 예를 들면, 더 비싸게 살 수록 (1), 더 빨리 주문할수록 (2), 더 많이 주문할수록 (3), 증권사보다 고객이 주문할 때 (4)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그리고 각 원칙끼리도 우선순위가 있는데 1 > 2 > 3 > 4의 순서입니다. 즉, 가격 우선의 원칙을 먼저 적용하여 비교하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