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주식 투자/투자 용어

(10)
중국 주식 시작하기 전 중국 증시 이해 [거래시간, A주와 B주, 투자방법]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2022년 기준 세계 GDP 순위를 보면 한국은 13위, 중국은 2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중국은 독특한 주식 구조와 정보를 찾는 어려움에 진입장벽이 높은 투자 시장입니다. 그래도 시장 규모가 크고, 여전히 미국에 유일하게 비빌 곳은 중국 뿐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공부해 두는 것이 좋을 것 같아 간단히 정리해두려 합니다. 상해와 심천 중국주식을 검색하면 상해A, 심천A, 상해B, 상해종합지수, 심천종합지수 이런 검색어들이 자주 보입니다. 상해와 심천은 중국의 거래소로 미국의 뉴욕거래소, 나스닥과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해거래소에는 인프라, 국유기업, 은행, 음식료, 부동산 업종의 기업들이 주로 상장되어 있고, 심천거래소에는 IT, 반도체, 전기차, 헬스케어 등 하이테..
[차트 보조지표] RSI /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캔들차트에는 수많은 보조지표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함수들을 이용한 RSI,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RSI [ Relative Strength Index ] RSI은 상대강도지수를 의미하며 주가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은 특정 기간에서 상승한 날의 전일대비 평균 상승분을 하락한 날의 전일대비 평균 하락분과 평균 상승분의 합으로 나누면 되는데, 각 증권사 HTS나 MTS에서 보조지표를 그려주기 때문에 굳이 직접 계산 필요는 없습니다. RSI = (설정한 기간의) 상승한 날의 전일대비 평균 상승분 ÷ (평균 상승분 + 하락한 날의 전일대비 평균 하락분) RSI 차트만으로 해석할 때는, 50% 를..
손익비와 승률의 상관관계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 수익은 길게, 손실은 짧게 " 라는 투자의 명언이 있습니다. ​투자의 유명한 격언으로 정말 실천하기 어려운 말입니다. 간단하게는 손절을 잘해라, 조금 다르게 해석하면 손익비를 높게 가져가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승률과 손익비의 뜻을 알아보고 상관관계를 간단히 살펴보기로 하겠습다. 승률 승률은 말 그대로 이기는 확률, 투자에서는 수익을 볼 확률입니다.​10번 투자했을 때, 이익을 4번 손해를 6번 봤다면 승률은 4/10, 즉 40%가 됩니다. ​손익비 직역하면 손실과 이익의 비율입니다. 조금 더 보기 편하게 식으로 보면   손익비 = 이익률 평균 / 손실률 평균5번 거래를 했고, 결과가 +5%, +3%, -1%, -1%, -1% 라면 손익비는 4/1 = 4.0이 되는 것..
미국의 주식 공모방식, IPO/RDO/FPO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이전에는 한국의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증자는 왜 하는 것일까요? 돈을 마련하기 위해서입니다. 미국은 어떤 방식으로 공모하는지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주식과 증자 주식은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입니다. 그리고 주식회사가 돈을 마련하는 방법이죠. 기업이 자본이 부족해 자금을 마련할 필요를 느낄 때, 주식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이 한국에서 유상증자라는 방법입니다. 주식을 새로 발행하여 주주들에게 팔아 자금을 조달하는 유상증자는 아래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기존 주주들에게 신주인수권(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배정하는 주주배정 방식 2. 기존 주주가 아닌 불특정 다수에게 유상증자 청약을 해서 배정하는 일반..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주식의 추가 발행]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상한가를 찍고 있는 기업들을 보고있으면 가끔 무상증자 이슈가 보입니다. 증자란 무엇이고 무상증자와 유상증자의 의마를 살펴보겠습니다. 증자[Capital Inrease]란 증자는 말 그대로 '增더하다資재물을' 자산을 어떠한 방법을 통해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종의 이유로 기업은 자본이 부족해져, 필요 수준만큼 자본금을 조달할 필요성이 있게 되는데, 이때, 주식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신주 발행)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으며, 주식을 돈을 받고 파는 유상증자와 기존 주주에게 무료로 배부하는 무상증자가 그것입니다. 유상증자 [capital increase with consideration] 사실 증자라 하면 대부분 유상증자입니다.  주식을 새로 발행하..
엘리엇 파동 기초, 기초 모형과 3가지 법칙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오늘은 시장 흐름을 설명하는 유명한 이론 중 하나인 엘리엇 파동 이론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 A.J 프로스트 도서 참고) 엘리엇 파동 이론은 후행 지표 우선, 엘리엇 파동은 시장을 예측하는 도구가 아닌 시장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어찌보면 끼워맞추기 식으로도 볼 수 있으나, 어느정도 정확도도 있으며, 시장흐름을 설명 할 수 있기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과거에 다우지수 폭락을 정확히 예측했기에 유명해졌습니다) 또한, 엘리어트 파동은 개별종목이 아닌 지수 선물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1930년대에 랠프 넬슨 엘리어트가 다우지수를 연구하며 발견한 이 현상을 개별종목에 적용해 봐야 변수가 훨씬 많고, 이에 따라서 틀린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
구글파이낸스로 코스피, 삼성전자, 엔비디아의 상관계수 계산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오늘은 통계용어인 상관계수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단순하게, 상관계수는 두 항목의 과거 데이터를 가지고 연관성을 도출한 확률입니다.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 사전적으로 '두 변인 X, Y 사이 상관 관계의 정도를 나타낸 수치' 라는 뜻의 상관계수는 통계학적으로도 많이 사용하고 데이터 분석에서도 많이 쓰는 개념입니다. 우리가 삼성전자 주가와 코스피 지수의 상관계수를 구할 피어슨 상관계수의 공식입니다. 피어슨 상관계수는 두 변인 X와 Y의 선형 상관관계를 계량화한 수치이며, 두 변인의 공분산을 각 변인의 표준편차의 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식을 기억할 필요도, 계산할 필요도 없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X가 오르면 Y가 반드시 오른다는 상관계수가 1이..
재무제표 보는법 (GP/A, PCR, PSR, PFCR, PER, PBR 용어정리)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주식을 하다보면 PBR 같은 재무제표 용어를 접할 일이 자주 있습니다. PBR (Price Book Ratio) 모른다고 주식투자를 못하지는, 재무제표를 볼 줄 모른다고, 주식투자를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투자하는 기업에 대해 더 잘 알기 위해서,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퀀트 투자와 같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알 필요 있습니다. 오늘은 재무제표 보는법과 PCR, PSR, PER 등 자주 활용되는 용어들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두려합니다. 재무제표 재무제표란 기업의 재무와 성과에 관한 보고서입니다. 기업회계기준으로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주기 및 주석으로 구성되는데, 아래 삼성전자의 재무 정보도 위 3가지로 나뉘어져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