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용어

(3)
ETF/ETN/ELS 뜻과 간단한 개념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개인적으로 ETF는 희대의 발명품이라고 생각하며, 상당히 마음에 들어하는 금융상품입니다. 그 자체만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하고, 금, 채권, 원자재 등 투자하기 어려운 자산에도 주식처럼 쉽게 접근,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다양한 ETF에 대해 더 많이 작성할 예정입니다. 그 전에, 헷갈릴 수 있는 용어 ETF/ETN/ELS 의 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려 합니다. ETF [Exchange Traded Fund] ETF는 펀드를 주식 거래소에 상장시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다소 큰 금액이 필요한 펀드와 달리 소액으로 한 주씩 다양한 상품에 투자를 할 수 있으며, MTS 및 HTS로 간단히 사고 팔 수 있어, 주식과 펀드의 장점만 모..
주식, 채권, 펀드 개념 정리 (각각의 장단점과 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돈이라는 개념은 참 다양한 형태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주식, 부동산, 금 등의 현물, 이 자산들의 선물 등 여러가지 파생상품들처럼 다양한 형태로 바뀌어 거래되고 가치를 보존하고 변화합니다. 최근에는 비트코인이라는 가상자산의 현물 ETF가 SEC에서 승인되면서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 또한 '돈' 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자산배분의 일부로 당당히 활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전부터 이미 유명했지만요. 오늘은 먼 과거부터 있었던 자산, 금융상품인 주식, 채권, 펀드의 개념부터 장단점, 투자방법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Stock] 주식의 사전적 의미는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 입니다. 회사가 돈을 마련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회사의 주권을 쪼개서 팔아 ..
FED(연방준비제도)와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세계 각국에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주체가 있다. 유럽의 유럽중앙은행, 한국의 한국은행, 그리고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즉 FED가 있다. Fed(Federal Reserve) 가 뭔데? FED, 즉 연방준비제도는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을 목표로 미국의 통화금융정책을 수행하는 미국의 중앙은행제도이다. 미국은 각 주들이 각각 다른 법률과 독립된 자치권을 가지고 있는 연방 국가이기 때문에, 12개의 연방준비은행을 모아 하나의 중앙은행처럼 운영하기 위한 제도가 필요했기 때문에, 이런 FED의 형태가 나온 것이다. FED 홈페이지에서 FED의 구조, 목적 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이 있으나, 뜻을 관통하는 두 단어는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이다. 즉, 실업률을 낮게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