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산배분

(2)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2 (동적자산배분 PAA, VAA, DAA)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이번에는 자산들의 모멘텀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결정하는 동적 자산배분과 간단한 PAA, VAA, DA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적자산배분과 동적자산배분 우선 정적자산배분과 동적자산배분의 차이에 대해 인지하고 시작하려 합니다. 정적 자산배분(Static Asset Allocation)은 초기에 설정한 투자 포트폴리오의 자산배분 비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합니다. 이 전의 글에 소개했던 영구 포트폴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 등이 정적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에 속합니다. 동적 자산배분(Dynamic Asset Allocation)은 자산의 흐름,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 목표에 맞추어 자산배분 비율을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바우터 켈러(Wouter J. Keller) 교수의 PAA(Protecti..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1 (영구, 사계절, 올웨더 포트폴리오) 안녕하세요, 맥스웰입니다. 투자의 기본중의 기본,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와 간단한 포트폴리오 종류 3가지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자산배분의 아버지인 게리 브린슨은 '포트폴리오의 실적을 결정하는 요소(Determinants of Portfolio Performance)' 라는 논문에서 수익률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의 비중을 마켓 타이밍 1.8%, 개별 종목선정 4.6%, 그리고 자산 배분을 91.5%로 기술했습니다. 위 그림이 해당 논문에 나오는 데이터입니다. 즉, 자산배분이 어떤 종목을 언제 사는가 보다 중요하다고 기술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자산배분이란 무엇일까. 단적으로 말해서, 자신의 자산을 주식,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군에 어떻게 배정할 것인가입니..

728x90
반응형